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 사업 소개. 주요 사업 대상: 주요 사업 대상은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 20조에 의한 공공보건의료에 종사하는사람이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음. 범부처 공공보건의료기관 및 공공보건의료 업무를 수행하는 민간의료기관종사자. 시도 공공보건의료 업무담당자 및 공공보건 의료지원단.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의 예비의료인. 퇴직의사(시니어 의사 매칭사업). 국민. 주요 사업: 교육훈련, 조사연구, 연계협력, 정책지원. 교육훈련: 공공보건(정책변화 대응력 제고를 위한 직급별-단계별 교육 / 필수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예비의료인력 진로설계 캠프(의과대,간호대)), 의료임상(필수의료분야 의료진 대상 임상술기 및 현장파견 연수 제공/ 감염병 대응 현장인력 및 감염 취약시설 종사자 교육), 방문교육(응급,감염,재난 등 공공병원 맞춤형 컨설팅 및 모의도상훈련 / 병원행정, 경영관리 등 지역거점공공병원 맞춤형 방문교육), 온라인(이러닝 및 AR/VR 등 실감형 시뮬레이션 교육 / 의료기관 법정필수 및 의무교육 등), 조사연구: 교육품질 제고(공공보건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중장기 교육체계 수립 / 인력수급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조사연구 및 교육과정 개발 등), 연계협력: 교육품질제고(전문학회 및 의료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 중앙 서 권역 지역의 인력양성 거버넌스 구축), 정책지원: 교육품질제고(공공보건의료 인적자원 개발 / 인력관리체계 고도화)
2025년 사업추진 전략. 비전. 공공보건의료를 책임지는 국가 공공보건의료 인력양성 파트너. 미션. 국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공보건의료인력 양성. 전략목표. 1. 공공보건의료 인력 양성 강화. ① 공공보건의료 전(全)주기 인력 양성 및 허브기능 강화. 예비의료인부터 시니어 의사까지 인력양성 종합 전략수립 및 교육제공. 정책과 현장니즈에 따른 핵심 인력 양성·관리. ② 공공보건의료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품질 고도화. 직종-직급·영역별 전문 역량 중심의 직무교육 내실화. 의료진 법적의무교육 신설·확대. 해외 선진사례 교육 및 에듀테크 활용 교육 등 다양한 학습경험 제공. ③ 필수의료서비스 맞춤형 방문교육 및 컨설팅 확대. 응급, 재난 등 기관별 찾아가는 컨설팅 및 모의도상훈련 제공. 2. 공공보건의료 인력 양성 기반 조성. ④ 근거기반의 교육품질 제고를 위한 조사·연구 활성화. 종사자 현황, 교육실태 및 수요, 정책효과, 수급분석 등 인력양성 연구. 교육프로그램 개발, 표준화된 교육 콘텐츠 및 도구 개발 등 연구. ⑤ 상생협업 기반의 교육생태계 구축. 중앙↔권역↔지역 인력양성 거버넌스 구축. 산학연관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 구축 및 사업 전개. 교육플랫폼 기능 구축을 통한 유관기관 협력기대. ⑥ 교육사업관리 내실화. 제규정, 사업분석 및 중장기 전략, 정보화 시스템, 기타 인프라 등 체계 정비. 교육과정 및 교육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 교육평가체계 고도화. 3. 인력정책지원 내실화. ⑦공공보건의료인력정책 수립 및 운영 지원 체계화. 공중보건장학제도, 지역거점 의사 인건비 지원, 시니어 의사 지원 등 정책사업 운영체계 점검. 인력정책사업 효과 분석 및 현장 모니터링 실시 강화. ⑧ 공공보건의료 대국민 인식 개선 및 센터 중앙 전문 교육기관으로의 위상강화. 국가 인력정책사업, 국민참여 및 콘텐츠 공유, 센터사업 홍보 등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