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학습관리시스템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

알림창

공지사항 더보기

[언론보도]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대응 모의실행훈련’ 실시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대응 모의실행훈련’ 실시 - 신종감염병 발생 시나리오 기반 실행훈련으로 의료진 현장 역량 강화 - 신종감염병 환자 발생부터 사망관리까지 전 과정 실습 및 개선점 도출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서길준)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가 지난 10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국립중앙의료원 모듈병동 등에서 ‘신종감염병 대응 모의실행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올해 신종감염병 도상훈련을 수료한 의료진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공공의료기관, 국가지정 입원치료(격리)병상 운영기관, 민간의료기관 등에서 근무하는 의료진 총 10명이 참여했다.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의료진의 현장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의료기관 내 신종감염병 발생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응 절차 및 협업 체계에 대한 토론 및 실행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에 참여한 의료진들은 신종감염병 발생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각자가 맡은 역할에 따라 환자 발생부터 이송, 격리, 사망 관리까지 전 과정을 실습하고 디브리핑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했다. 특히 ▲개인보호구(Level C) 착‧탈의 ▲검체 채취 및 포장 ▲기관 내 삽관 ▲자동 가슴압박장치 ‘루카스(LUCAS)’를 활용한 심폐소생술 등 신종감염병 환자 대응 절차 전반을 실제와 같이 훈련했다.    이번 훈련에 참여한 한 수료생은 “의료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신종감염병 발생 시 긴박한 대응 현장 상황을 실제처럼 경험하고, 대응 절차별 세부 활동사항을 반복 훈련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오영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장은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 발생 위험에 대비하고,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장 중심의 반복적인 실행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신종감염병 발생 상황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지속 확대해 국가 감염병 대응 역량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끝)

언론보도
2025-11-11

[언론보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사업 기획 실무 교육’ 개최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사업 기획 실무 교육’ 개최 - 공공보건의료사업 기획 위한 지역현황 분석 실습 및 사례 토의 나눠 -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서길준)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가 지난 10월 30일부터 이틀간 ‘2025년 Step by Step 공공보건의료사업 기획 실무 교육’을 개최했다.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전국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의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해 공공보건의료 지역현황 분석과 계획 시행을 중심으로 실습과 토의 교육을 진행했다. 주요 교육 프로그램은 ▲공공보건의료계획 성과지표의 이해 ▲근거기반의 공공보건의료 환경 분석 ▲공공보건의료 시행계획 평가 및 개선전략 모색 등이다.   이번 교육을 수료한 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는 “이론 교육을 통해 공공보건의료계획의 기본 지식을 다지고, 이어진 조별 실습 및 토론 활동에서 사업 기획에 필요한 전반적인 과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오영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장은 “앞으로도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의 사업 기획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기초 및 실무 교육과정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끝)

언론보도
2025-11-11

[언론보도] 국립중앙의료원, ‘2025년 공중보건장학 동문 네트워크 포럼’ 개최

  국립중앙의료원, ‘2025년 공중보건장학 동문 네트워크 포럼’ 개최 - 공공보건의료 관계자간 현장 경험 공유 및 소통의 장 마련 -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서길준)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가 지난 11월 7일(금) 공중보건장학제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공중보건장학생으로 선발되어 현재 공공의료기관에서 의무복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5년 공중보건장학 동문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    공중보건장학제도 시범사업은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가 공공의료에 사명감을 갖춘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생을 선발해 장학금과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면허 취득 후 지역 공공의료기관에 일정기간 의무복무하도록 하는 제도다. 현재까지 총 213명의 공중보건장학생이 선발되었으며, 현재까지 총 91명의 의료인이 배출됐다.    이번 포럼에는 공중보건장학 간호사 33명이 참석해 공공의료 분야 선후배간 현장 경험을 공유하고, 공중보건장학제도와 공공의료 커리어 및 근무환경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요 프로그램은 슬기로운 직장생활 기술 ▲공공의료 현장에서 발견한 가치와 도전 ▲공중보건장학 동문 우수 활동사례 ▲공중보건장학생과 공공의료 현장의 만남 등이 진행됐다.    특히, 경상남도마산의료원에서 20여 년간 근무 중인 간호부장의 특별강의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의료원에서 의무복무기간 이후에도 지속 근무 중인 동문의 우수 활동사례 발표 등 공중보건장학 동문이 직접 전하는 공공의료 현장 이야기는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참석자들에게 공공의료 인력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됐다.    오영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장은“이번 포럼은 공중보건장학생으로서 공공의료기관 의무복무를 이행 중인 의료인들이 서로의 현장 경험을 나누고 연대하는 뜻 깊은 자리”라며 “앞으로도 공중보건장학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필수의료 분야의 인력난 해소와 공공의료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언론보도
2025-11-11

[언론보도]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대응 모의실행훈련’ 실시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대응 모의실행훈련’ 실시 - 신종감염병 발생 시나리오 기반 실행훈련으로 의료진 현장 역량 강화 - 신종감염병 환자 발생부터 사망관리까지 전 과정 실습 및 개선점 도출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서길준)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가 지난 10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국립중앙의료원 모듈병동 등에서 ‘신종감염병 대응 모의실행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올해 신종감염병 도상훈련을 수료한 의료진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공공의료기관, 국가지정 입원치료(격리)병상 운영기관, 민간의료기관 등에서 근무하는 의료진 총 10명이 참여했다.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의료진의 현장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의료기관 내 신종감염병 발생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응 절차 및 협업 체계에 대한 토론 및 실행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에 참여한 의료진들은 신종감염병 발생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각자가 맡은 역할에 따라 환자 발생부터 이송, 격리, 사망 관리까지 전 과정을 실습하고 디브리핑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했다. 특히 ▲개인보호구(Level C) 착‧탈의 ▲검체 채취 및 포장 ▲기관 내 삽관 ▲자동 가슴압박장치 ‘루카스(LUCAS)’를 활용한 심폐소생술 등 신종감염병 환자 대응 절차 전반을 실제와 같이 훈련했다.    이번 훈련에 참여한 한 수료생은 “의료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신종감염병 발생 시 긴박한 대응 현장 상황을 실제처럼 경험하고, 대응 절차별 세부 활동사항을 반복 훈련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오영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장은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 발생 위험에 대비하고,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장 중심의 반복적인 실행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신종감염병 발생 상황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지속 확대해 국가 감염병 대응 역량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끝)

언론보도
2025-11-11

[언론보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사업 기획 실무 교육’ 개최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사업 기획 실무 교육’ 개최 - 공공보건의료사업 기획 위한 지역현황 분석 실습 및 사례 토의 나눠 -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서길준)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가 지난 10월 30일부터 이틀간 ‘2025년 Step by Step 공공보건의료사업 기획 실무 교육’을 개최했다.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전국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의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해 공공보건의료 지역현황 분석과 계획 시행을 중심으로 실습과 토의 교육을 진행했다. 주요 교육 프로그램은 ▲공공보건의료계획 성과지표의 이해 ▲근거기반의 공공보건의료 환경 분석 ▲공공보건의료 시행계획 평가 및 개선전략 모색 등이다.   이번 교육을 수료한 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는 “이론 교육을 통해 공공보건의료계획의 기본 지식을 다지고, 이어진 조별 실습 및 토론 활동에서 사업 기획에 필요한 전반적인 과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오영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장은 “앞으로도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의 사업 기획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기초 및 실무 교육과정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끝)

언론보도
2025-11-11

[언론보도] 국립중앙의료원, ‘2025년 공중보건장학 동문 네트워크 포럼’ 개최

  국립중앙의료원, ‘2025년 공중보건장학 동문 네트워크 포럼’ 개최 - 공공보건의료 관계자간 현장 경험 공유 및 소통의 장 마련 -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서길준)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가 지난 11월 7일(금) 공중보건장학제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공중보건장학생으로 선발되어 현재 공공의료기관에서 의무복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5년 공중보건장학 동문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    공중보건장학제도 시범사업은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가 공공의료에 사명감을 갖춘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생을 선발해 장학금과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면허 취득 후 지역 공공의료기관에 일정기간 의무복무하도록 하는 제도다. 현재까지 총 213명의 공중보건장학생이 선발되었으며, 현재까지 총 91명의 의료인이 배출됐다.    이번 포럼에는 공중보건장학 간호사 33명이 참석해 공공의료 분야 선후배간 현장 경험을 공유하고, 공중보건장학제도와 공공의료 커리어 및 근무환경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요 프로그램은 슬기로운 직장생활 기술 ▲공공의료 현장에서 발견한 가치와 도전 ▲공중보건장학 동문 우수 활동사례 ▲공중보건장학생과 공공의료 현장의 만남 등이 진행됐다.    특히, 경상남도마산의료원에서 20여 년간 근무 중인 간호부장의 특별강의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의료원에서 의무복무기간 이후에도 지속 근무 중인 동문의 우수 활동사례 발표 등 공중보건장학 동문이 직접 전하는 공공의료 현장 이야기는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참석자들에게 공공의료 인력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됐다.    오영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장은“이번 포럼은 공중보건장학생으로서 공공의료기관 의무복무를 이행 중인 의료인들이 서로의 현장 경험을 나누고 연대하는 뜻 깊은 자리”라며 “앞으로도 공중보건장학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필수의료 분야의 인력난 해소와 공공의료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언론보도
2025-11-11